리뷰

전통춤협회 수건춤 100년
입춤·살풀이춤 아우른 수건춤들 다시 보기
김영희_전통춤이론가

‘2024 대한민국전통춤문화제 – 수건춤 100년’이 2월 23, 24일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있었다. 사)한국전통춤협회(이사장 한혜경)가 주최·주관했고, 국악방송이 후원했다. 이번 공연의 부제는 ‘수건춤 100년’으로, 전통춤 중 수건을 들고 여성 무용수가 추는 민속춤들에 초점을 맞추었다. 흥미로운 접근이었다.

23일에 최지원(호남살풀이춤보존회 대표)의 〈최선류 동초수건춤〉, 박은하(한빛전통춤보존회 예술감독)의 〈이매방류 살풀이춤〉, 이지은(국가무형문화재 살풀이춤 이수자)의 〈김숙자류 도살풀이춤〉, 고재현(사안 송화영교방춤보존회 회장)의 〈송화영류 교방입춤〉, 이정애(국가무형문화재 살풀이춤 이수자)의 〈김란류 쌍수건춤〉, 김진원(대한민국전통무용협동조합 이사장)의 〈이매방류 살풀이춤〉, 이미숙(의정부시 무형문화재 경기수건춤 예능보유자)의 〈경기수건춤〉이 추어졌고, 24일에 윤미라(달구벌입춤보존회 회장)의 〈최희선류 달구벌 입춤〉, 채향순(대전무형문화재 살풀이춤 전승교육사)의 〈김란류 살풀이춤〉, 권영심(국가무형문화재 살풀이춤 이수자)의 〈임이조류 교방살풀이춤〉, 임현선(임현선춤예술아카데미 대표)의 〈강선영류 즉흥무〉, 김경란(서울교방 대표)의 〈김경란류 논개별곡〉, 문숙경(청어람우리춤연구회 회장)의 〈이매방류 살풀이춤〉, 이정희(경기도무형문화재 경기시나위춤 예능보유자)의 〈김숙자류 도살풀이춤〉이 추어졌다. 필자는 24일에 관람했다.

전체 공연 종목으로 보았을 때 입춤 계열은 〈최선류 동초수건춤〉, 〈송화영류 교방입춤〉, 〈김란류 쌍수건춤〉, 〈경기수건춤〉, 〈최희선류 달구벌입춤〉, 〈강선영류 즉흥무〉이며, 살풀이춤 계열이 〈이매방류 살풀이춤〉, 〈김숙자류 도살풀이춤〉, 〈김란류 살풀이춤〉, 〈김경란류 논개별곡〉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임이조류 교방살풀이춤〉은 살풀이춤이라 했지만, 춤의 의상이나 정조(情調)로 보아 입춤 계열에 가까웠다.



  

채향순 〈김란류 살풀이춤〉, 권영심 〈교방살풀이춤〉 ⓒ한국전통춤협회



문숙경 〈이매방류 살풀이춤〉 ⓒ한국전통춤협회



이정희 〈김숙자류 도살풀이춤〉 ⓒ한국전통춤협회



입춤은 立춤 또는 入춤의 개념으로 춤판의 초두에서 판을 여는 춤이면서, 전통춤에 처음 입문할 때 기본춤처럼 학습하고 추는 춤이다. 조선후기와 일제강점기 기록에서 입춤을 찾을 수 있으나, 이후에는 잘 추어지지 않았었다. 한편 살풀이춤은 한성준의 조선음악무용연구회 1938년 공연에서 3인이 추었으며, 당시 조선일보에 소개된 작품 설명에는 “조선에 전해오는 풍속을 제재로 하여 웃음과 해학과 통속미가 있는 춤이다.”라고 했다. 현행 살풀이춤처럼 애원성(哀怨聲)의 살풀이 가락에 깊은 한(恨)을 표현하는 춤이 아니었으며, 계면조(界面調)의 애조 띤 춤으로 전형화된 시기는 1970년대였다. 그 과정에서 수건을 다양한 길이로 사용하며, 살을 푼다는 의미의 살풀이춤들이 다양하게 구성된 것이다.

그렇게 살풀이춤이 자기 정체성을 완성하며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1990년대 후반부터 입춤, 수건춤, 즉흥무, 허튼춤, 굿거리춤 등의 명칭으로 수건을 들고 추는 춤들이 무대에 오르기 시작했다. 1950, 60, 70년대에 수건을 들고 추는 춤들을 배웠거나 기억하는 전통춤꾼들이 이 춤들을 내놓았던 것이다. 손춤으로 추다가 수건을 꺼내서 수건춤을 추거나, 수건으로 허리를 묶어추다가 소고춤이 이어지기도 한다. 수건을 던졌다가 엎들려서 손으로 집어올리기도 하지만, 입으로 물어올리는 구성도 있다. 또한 수건 길이도 다양하여, 짧으면 짧은대로 길면 긴대로 수건 사위가 각양각색이다.



임현선 〈강선영류 즉흥무〉 ⓒ한국전통춤협회



수건을 들고 여성 홀춤으로 추는 이 춤들은 저마다 서서히 작품화되어 다른 바디를 갖게 되었다. 한영숙, 이매방, 김숙자, 강선영, 김수악, 최희선, 최선, 송화영 등이 작품을 남겨 전승했고, 근래에는 중년 이상의 전통춤꾼들이 수건을 들고 추는 춤을 새로 내놓기도 한다. 이번 공연에서 김란류의 〈쌍수건춤〉과 〈살풀이춤〉이 추어졌는데, 전자는 수건 두 개를 들고, 후자는 한 개를 드는 구성이었다. 임현선이 춘 〈강선영류 즉흥무〉는 손춤으로 춤을 시작했다가 손수건 사이즈의 작은 수건을 왼팔 배래에서 꺼내 수건 중앙을 잡고 상큼하게 추었다. 굿거리 끝 무렵에 다시 수건을 배래에 넣고서 손춤으로 추다가, 장단을 잦은모리로 넘긴 후에 다서 수건을 꺼내 드는데 이번엔 수건 끝을 잡아 길게 썼다. 하나의 춤에서 수건을 다양하게 사용한 것이다. 그리고 그의 스승인 강선영의 춤체가 두툼하면서도 화려하다면, 임현선의 춤은 깊은 호흡의 안정감과 함께 담농(淡穠)하다. 단아한 태에 군더더기 없이 담백하면서도 화사하고 려려(麗麗)하기도 하다. 김경란이 춘 〈논개별곡〉은 논개살풀이로부터 시작되어 김경란의 안무로 재구성되어 추어졌다. 그런데 이번 공연에서는 시나위 반주곡이 아닌 25현가야금(박순아 연주)의 주선율에 대금(이성준 연주)을 얹은 반주곡이었다. 음악이 바뀌니 춤의 인상이 달라졌으니, 음악이 바뀌면서 호흡의 운영도 무게중심을 옮기는 것도 달라졌을 것이다. 이 춤의 작품설명에서 말했듯이 서사를 바탕으로 하면서 기존의 살풀이춤과는 다른 구성을 보여주었다.



김경란 〈논개별곡〉 ⓒ한국전통춤협회



이번 공연은 국립국악원 예악당에 올려졌는데, 이런 대극장에서 올릴 필요가 있었는지 의문이다. 전통춤은 근접한 거리에서 보아야 온전히 감상할 수 있고, 예악당 대관은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이왕 전통춤의 레파토리 공연이 아니고 일정한 주제를 설정한 기획이라면 이에 맞는 무대 선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수건춤 100년’이라는 부제는 어떤 역사적 고증이나 시각에 의한 것인지도 궁금하다. 혹여 수건춤이 100년이 되었다는 것으로 비춰지거나 인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윤미라 〈최희선류 달구벌입춤〉 ⓒ한국전통춤협회



그리고 2019년부터 협회의 공연을 정기공연이 아니라 ‘대한민국 전통춤문화제’로 행사명을 바꾸었다. 그렇다면 문화제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꾀할 수 있지 않을까. 회원 중심으로 무대에 세우는 일이 물론 중요하지만, 전통춤을 경험하고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아쉬운 점이 있었으나 한국전통춤협회가 내년에는 어떤 컨셉으로 무대를 만들지 기대된다. 협회가 의례적인 기획이 아니라 생동감 있게 수건춤이라는 화두를 내놓았기 때문이다. 전통춤계가 수건을 들고 추는 춤들을 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김영희

전통춤이론가. 김영희춤연구소 소장. 역사학과 무용학을 전공했고, 근대 기생의 활동을 중심으로 근현대 한국춤의 현상에 관심을 갖고 있다. 『개화기 대중예술의 꽃 기생』, 『전통춤평론집 춤풍경』등을 발간했고, 『한국춤통사』,  『검무 연구』를 공동저술했다. 전통춤의 다양성과 현장성을 중시하며, ‘검무전(劍舞展)I~IV’시리즈를 기획했고, '소고小鼓 놀음'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

2024. 3.
사진제공_한국전통춤협회 *춤웹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