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마당춤 · 공동체춤 · 민족춤

채희완_춤비평가

2019. 11.

마당춤은 극장무대 공간에서 추는 춤과 대조되는 야외공간에서 추는 춤을 총칭한다. 마당춤의 개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의미에서 마당춤은 전통사회에서 행해진 춤의 여러 갈래를 대표하는 개념이다. 전통춤의 갈래로는 마당춤과 함께, 사랑방이나 기방에서 추던 풍류방춤과, 궁정이나 문묘, 지방관아, 절간 등의 대뜰에서 추...

원자료도 다시 태어나야 가치가 있다

김채현_춤비평가

2019. 10.

그 누구든 어떤 작품을 하고 싶다는 마음을 품을 때 자료는 잉태된다. 그런 마음이 실물로 구체화되면 자료 또한 탄생한다. 태어난 자료가 명작이라면 그 생명은 심지어 영원할지 모른다. 다만 명작도 자료가 보존되지 않는다면 실체 없는 허상에 불과하게 된다. 허상은 허상일 뿐이며 허상으로 실체의 가치를 유지하는 데는 한계가 크다.  춤은 흔히 찰나의...

두레춤과 공동체예술

채희완_춤비평가

2019. 10.

두레춤은 두레관행(慣行)과 연관되어 추어지던 춤이다. 마을에서 공동으로 일하며 풍물치는 것을 ‘두레’라고도 하는데, 이를 보면 두레춤은 풍물춤이고, ‘두레풍장’의 춤임을 알 수 있다. 마을의 일꾼들이 모여 두레일과 두레놀이와 두레먹기를 하면서 일하러 가고올 때, 모내고 모심고 김매고 풀베고 길쌈할 때, 그리고 새해맞이나 머...

젊고 푸른 춤의 새내기들에게

채희완_춤비평가

2019. 09.

한국전통춤은 어떤 양식의 춤을 전공했던 간에 우리 모두의 공동유산입니다. 거기서부터 창작의 물줄기를 대어 우리춤의 역사적 지속성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지금 대학 춤교과에 한국춤, 현대춤, 발레, 재즈 등 춤양식의 3분법 또는 4분법에 따라 전공을 가르고, 이에 따라 각기 다른 춤실기 교육을 하고 있습니다. 춤언어와 ...

2019. 08.

한국춤비평가협회가 주최한 2019 여름 포럼에서는 한국창작춤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활발하게 국내외에서 활동의 폭을 확장하고 있음에 주목하여 “오늘의 춤 창작경향과 비평 2”을 주제로 한국창작춤 현장을 논했다. 〈춤웹진〉은 현장스케치와 발제문에 이어 2부 순서로 진행된 패널과 함께한 토론 내용을 게재한다. 한국춤비평가협회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