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1. 태국 궁중무용 콘을 통해 살펴본 태국의 춤 인프라

서정록_춤연구가

2018. 07.

지난번 대만편에 이어, 이번부터 2회에 걸쳐서 태국의 춤 인프라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태국의 춤과 춤 인프라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한국에 많은 것들이 알려져 있지 않은 것 같다. 그러므로 이번 편에서는 태국의 궁중 춤인 콘(Khon)을 중심으로 태국의 춤 문화와 태국 사회와의 관계 대한 특징들을 간략하게 알아보고, 다음 편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한...

해학과 비장, 겉웃음 속울음, 그리고 치유의 춤, 병신춤

채희완_춤비평가

2018. 07.

한국민속춤은 해학적인 내용이 있으며 속울음을 웃음으로 전화시킨다. 이는 고단한 민중들에게 삶의 힘이었을 것이다.  아내를 범한 역신을 노래와 춤으로써 감복시켜 물러나게 한 유덕한 인물의 한 상징이던 처용이 곱추였고 처용춤이 곱사춤임을 밝히는 글이 나왔었다.(김수업, 「진주오광대의 오문둥이마당」, 『배달말』 23, 배달말학회, 199...

3. 타이완 현대춤의 어머니, 채서월 그리고 타이완의 어두운 현대사

서정록_춤연구가

2018. 06.

채서월(차이 루이유에 蔡瑞月)은 타이완의 현대무용의 선구자라 할 수 있으며 현대무용의 전파에 힘쓴 예술가이다. 그 생애는 한국의 현대 무용 선구자 중 하나인 최승희와 여러모로 닮은 점이 많다. 그 생애를 우선 간단히 살펴보면, 1921년 타이난 시에서 출생한 그녀는, 16세에 일본으로 건너가 당시 현대 무용의 아버지인 이시이 바쿠 밑에서 무...

고무진신하는 진주 덧배기춤 한판으로 창의도시를

채희완_춤비평가

2018. 06.

진주탈춤한마당이 1996년에 생겨나 횟수로 20회를 넘기면서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봄철 탈춤을 중심으로 오월을 맞이하는 진주시민의 현대세시풍속으로 자리를 잡는가하더니, 그 성장의례의 몫을 전승탈춤을 넘어 마당극으로, 각종 민속예술로, 현대연행물로 넘기고 있다. 오늘을 사는 사람들과 함께 살기 힘든 현실국면을 놓고 다투면서 발언하고 이를 놀며 살을...

2. 대만의 춤 교육 기관

서정록_춤연구가

2018. 05.

무용계의 인적 자원을 양성한다는 점에서 대만의 무용 교육계를 대략적으로나마 이해하는 것은 대만에 진출하려는 한국의 무용 예술가들에게 대만과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호에서는 우선 대만의 춤 고등교육기관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소개한다. 대만의 모든 무용학과를 소개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필자가 대만의 체류 시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