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ㆍ특집
![]() |
예술 인권, 예술 노동권을 위해
이지현_춤비평가 2018. 05. 윤단우님 발제문 잘 읽었습니다. 무용계가 미투 사례에서는 이상하리만치 조용한 이유를 무용계의 도제식 사제관계를 가스라이팅 효과로 해석하고 집단병리화 되어버린 현실에서 찾는 것에 동의합니다. 그리고 구체적 사례 채집과 쉽지 않은 당사자의 생생한 육성 내용을 담아주셔서 무용계에도 미투를 통해 오래된 부정부패의 구조가 자신의 권리를 찾으려는 가장 밑으로부터... |
문화예술계 성폭력, 원인은 무엇인가?
김인아_<춤웹진> 기자 2018. 05.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는 현재 우리사회의 핵심 이슈로 부상한 ‘#미투운동’ 현상을 종합적으로 짚어보고, 각종 성폭력 및 성차별의 원인을 진단하고 정책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총 3차례에 걸쳐 ‘미투 연속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앞서 인권위는 4월 5일 1차 토론회를 열어 ‘미투로 연대했다’의 주제로 젠더폭력 실태를 통해 본 미... |
잃어버린 옛춤의 기능을 예술춤 공연에서 회복할 수는 없는가
채희완_춤비평가 2018. 05. 춤은 모든 예술의 어머니다. 춤의 기원이 바로 예술의 기원이라 한다.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유동적인 것, 유목적인 것이 예술의 본령이다. 그러기에 21세기의 한 특성인 유목성(nomadism)과 ‘통’한다. 그러기에 춤은 새로운 세기의 새로운 전망이다. 같이 일하고 같이 먹고 놀고 노래하고 춤춘다. 21세기는 제멋대로 잘 놀아보려고 이곳저곳... |
![]() |
춤교육 현장에서 몇 가지 제안
채희완_춤비평가 2018. 04. 춤교육 현장에서 ‘무용’이란 용어를 폐기 처분하고 ‘춤’이란 용어를 되살려 쓰기를 나는 1980년대 이래 재삼 제의한다. ‘무용’이란 용어는 일본의 근대시기에 느리고 우아하고 사려깊은, 그래서 ‘정신적인’ 무(舞) 자와 빠르고 거침없고 펄쩍 뛰는, ‘육체적인’ 용(踊)자를 합성한 말이다. 1908년... |
1. 대만의 춤 극장들
서정록_춤연구가 2018. 04. 2000년대부터 한국 예술가들의 해외진출은 이전 시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며 가히 폭발적이다. K-Pop으로 대변되는 대중예술은 물론, 순수예술을 기반으로 하는 춤계 역시 예외는 아니다. 한국 안무가나 무용가가 해외 현지에서 활동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다양한 형태로 현지인들과 협업을 진행하는 것은 이제 그리 생경한 모습이 아니다. 해외 진출과... |